SK에코플랜트는 ‘이사회 중심의 책임경영’ 실현을 위해 투명하고 진정성 있는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사내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서 대표이사 및 경영진의 경영 활동을 감독할 실질적인 권한과 책임을 갖습니다. 이를 위해 독립적인 활동이 용이한 사외이사를 이사진의 과반수로 구성하였으며 이사회 산하에 전문위원회를 두어 회사의 중요 안건을 논의합니다. 또한 이사회가 감독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이사진 선임 시 독립성, 전문성, 다양성의 원칙을 적용합니다. 앞으로도 SK에코플랜트는 이사회 중심의 책임있는 ESG 경영 추진과 더불어 주주의 권익과 기업가치의 극대화를 위한 경영체계 구축에 주력하겠습니다.
이사회 중심 경영
이사회 구성 현황
2024년 7월 기준 SK에코플랜트의 이사회는 사내이사 2명, 사외이사 4명, 기타비상무이사 1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SK에코플랜트는 2021년을 지배구조 혁신의 원년으로 삼아 지배구조 헌장을 제정하였고 ESG위원회를 신설하여 SK에코플랜트의 지속가능경영 관련 주요 사항을 논의 및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한편 2022년에는 사외이사 선임 프로세스를 보완하여 독립성, 전문성, 다양성을 충족하기 위한 내부 기준과 선정 체계를 마련하였으며 여성이사를 선임하여 이사회 내 성별 다양성을 확보하였습니다.
SK에코플랜트는 이사회에 대한 정보(선임일, 임기, 위원회 구성 현황 등)와 각 이사의 경력을 홈페이지 및 사업보고서 등을 통해 내·외부 이해관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합니다. 이사회 규정 및 위원회 규정 또한 홈페이지 및 사내 인트라넷을 통해 누구나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사회 구성원
사내이사

이사회 의장
장동현
임기
2024.01. ~ 2026.03.
전문분야
리더십, 재무회계 및 리스크, 인수합병·투자, 사업 전략
- 現) SK에코플랜트 대표이사 부회장
- SK(주) 대표이사 부회장
- SK(주) 대표이사 사장
-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

김형근
임기
2024.07. ~ 2027.03.
위원회
ESG위원회
전문분야
리더십, 인수합병·투자, 사업 전략, 재무회계 및 리스크, ESG
- 現) SK에코플랜트 대표이사 사장
- SK E&S CFO
- SK㈜ Portfolio Mgmt. 부문장
- SK에어플러스 대표이사
사외이사

선임사외이사
김종호
임기
2023.03. ~ 2026.03.
위원회
ESG위원회, 감사위원회
전문분야
재무, 회계, 경영, M&A, 리스크 관리, ESG
- 現) LS E-LINK 사외이사(兼 감사위원)
-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대표 및 고문

박선규
임기
2023.03. ~ 2026.03.
위원회
ESG위원회, 감사위원회
전문분야
산업전문성, 안전관리, Globality, 조직관리
- 現)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 성균관대학교 부총장
- 독일 DYWIDAG

이미라
임기
2022.12. ~ 2025.03.
위원회
ESG위원회, 인사위원회
전문분야
전략, 트랜스포메이션, 리더십, 조직문화, ESG
- 現) 연세대학교 국제학 대학원 객원교수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사외이사·ESG위원장
- GE 코리아 최고인사책임자(CHRO)
- 맥쿼리그룹 한국 최고운영책임자(COO) 및 매니징 디렉터
- 도이치뱅크 독일 본사 글로벌전략기획 담당

정연만
임기
2024.03. ~ 2027.03.
위원회
ESG위원회, 인사위원회, 감사위원회
전문분야
리더십, 사업 전략, ESG, 산업기술
- 現)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회장
- 환경부 차관
- 환경부 기획조정실장
-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기획조정실장
기타비상무이사

신창호
임기
2024.03. ~ 2027.03.
위원회
ESG위원회, 인사위원회
전문분야
리더십, 재무회계 및 리스크, 인수합병·투자, 사업 전략, ESG
- 現) SK(주) Portfolio Mgmt. 부문장
- SUPEX추구협의회 자율책임경영지원단장
- SK에너지 BM혁신본부장
- SUPEX추구협의회 전략지원팀 담당임원
- SUPEX추구협의회 자율책임경영지원단 담당임원
이사회 전문성
SK에코플랜트는 사업 전략, ESG, 글로벌 역량 등 다양한 분야별 전문가를 이사로 선임하여 이사회 전문성을 제고합니다. 특히 SK에코플랜트의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 과정에서 전문 지식과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 합리적 의사결정이 요구됨에 따라 적임 전문가를 선임하고 있습니다. 2024년 3월에는 환경 사업 내실화 및 고도화를 위해 환경 전문가인 정연만 사외이사를 신규 선임하였습니다. 한편 SK에코플랜트는 이사진의 영역별 역량에 관한 내부 기준을 수립하였으며, 해당 기준에 따라 평가한 이사회 전문성을 표로 구성하여 내·외부 이해관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합니다.
이사회 전문성 현황
성명 | 리더십 | 재무회계 및 리스크 | 인수합병·투자 | 사업 전략 | ESG | 산업·기술 | 글로벌 역량 |
---|---|---|---|---|---|---|---|
장동현 | ● | ● | ● | ● | |||
김형근 | ● | ● | ● | ● | ● | ||
김종호 | ● | ● | ● | ● | |||
박선규 | ● | ● | ● | ● | ● | ||
이미라 | ● | ● | ● | ● | ● | ||
정연만 | ● | ● | ● | ● | |||
신창호 | ● | ● | ● | ● | ● |
전문 영역별 역량 구분 기준
영역 | 세부 전문성 역량 |
---|---|
리더십 | 대규모 조직 운영을 위한 전문성 보유 |
재무회계 및 리스크 | 회사 경영 및 감독을 위한 재무·회계에 대한 전문성 보유 |
인수합병·투자 | M&A, IPO 등 회사의 투자활동에 대한 전문성 보유 |
사업 전략 | 사업 전략, 트랜스포메이션, 포트폴리오 관리 등에 관한 경험 및 전문성 보유 |
ESG | 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관련 전문성 보유 |
산업·기술 | 건설, 환경 등 회사의 미래성장 산업과 관련된 경력 및 공학 학위 등 전문성 보유 |
글로벌 역량 | 글로벌 사업 수행 경험 보유 |
사외이사 전문성 함양
SK에코플랜트는 사외이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이사의 업무 효율화를 위해 정기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SK그룹에서 주관하는 사외이사 전문성 강화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합니다. 2023년에는 신규 편입된 환경·에너지 관련 국내외 핵심 자회사와 사업장을 방문하여 사업 현황 및 전망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였습니다. 한편 모든 감사위원회 위원은 감사 전문성 강화를 위해 연 1회 이상 감사위원회 포럼 및 외부 회계법인 교육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합니다.
사외이사 교육 현황
교육일자 | 교육실시 주체 | 주요 교육 내용 | 참석/대상(참석률) |
---|---|---|---|
2023.01.27. | 이사회사무국 | 신임 사외이사 오리엔테이션(회사 경영철학 및 사업 이해도 제고 등)1) | 3/3(100%) |
2023.02.17. | Eco Lab 센터 | Wayble 서비스 론칭에 따른 사업 현황 소개 및 AI·DT 적용한 소각로 자동화 시스템 소개 | 4/4(100%) |
2023.04.07. | SUPEX추구협의회 | 신임 사외이사 워크숍(SK Governance Story 및 그룹 경영 어젠다 이해도 제고 등) | 1/1(100%) |
2023.04.18. | 감사위원회 포럼2) | 자금사고 유형과 감사위원회가 유의해야 할 사항 및 텍스트 감성분석을 활용한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서의 내용 분석과 시사점 | 1/1(100%) |
2023.04.19. | 경인환경에너지 | AI·DT 기술 적용을 통한 소각로 자동화 시스템 적용 현장 시찰 및 기술 고도화 관련 토의 | 3/4(75%) |
2023.04.21. | ESG센터 | 글로벌 ESG 평가기관에 대한 개관 및 당사 ESG 목표에 대한 Consensus 수립 등 | 2/4(50%) |
2023.06.21. | 딜로이트 안진 | 기업지배기구발전센터 세미나(국내 환경을 고려한 이사회의 ESG 감독 등) | 1/1(100%) |
2023.07.03 | SUPEX추구협의회 | 그룹 이사회 의장 협의체(멤버사 이사회 평가 플랫폼 도입 논의 및 그룹 거버넌스 이슈 공유 등) | 1/1(100%) |
2023.07.03. | Cenviro & SK tes | 환경 사업의 동남아 및 글로벌 Anchor 사업장 방문을 통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전환 공감대 형성 | 3/3(100%) |
2023.07.13. | 감사위원회 포럼 | 감사위원회가 알아야 할 거버넌스 동향과 시사점, Unilever 성공사례의 한국 기업 적용방안: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하는 ESG 경영 및 환경변화 및 리스크 증대에 따른 내부통제 강화 및 고도화 방안 | 1/1(100%) |
2023.08.21. | 이천포럼사무국 | 소통이 이끄는 실천(Governance Story 고도화를 위한 이사회-구성원의 소통 등) | 4/4(100%) |
2023.09.13. | 탐라해상풍력발전 | 해상풍력발전사업의 이해도 제고를 위한 현장 방문 | 4/4(100%) |
2023.09.21. | 감사위원회 포럼 | 기업이 공시해야 하는 지속가능성 정보와 기업보고 과정에서의 감사위원회의 역할 | 1/1(100%) |
2023.10.13. | Eco Solution BU | 용인반도체클러스터 현장 시찰(당사 Captive Market 중요성 이해 및 사업 단계별 프로젝트 이해도 제고 등) | 4/4(100%) |
2023.10.31. | SUPEX추구협의회 | SK그룹 사외이사 Summit(이사회 구성 및 글로벌 운영 사례, 전략 및 투자 관련 이사회 역할 등) | 4/4(100%) |
2023.11.21. | 감사위원회 포럼 | 규제환경 변화와 결산시기 대비 선제적인 감사 및 감사위원의 역할과 준비사항 (감사위원회가 알아야 할 개정 법규 사항과 2024년 정기주주총회 체크포인트 및 결산시점 재무보고 및 외부감사 감독방안) | 1/1(100%) |
- 신임 사외이사 1명 및 재선임 사외이사 2명 대상 교육 실시하였습니다.
- 감사위원이 아닌 사외이사 1명 교육 참석 완료하였습니다.
이사회 독립성과 다양성
이사회 독립성
SK에코플랜트는 이사회가 독립성을 기반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기업지배구조헌장 내 총 이사 수의 과반1)을 사외이사로 선임할 것을 명시하였습니다. 또한 이사회 독립성을 강화하기 위해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마련하였습니다. 선임사외이사는 사외이사를 대표하여 이사회와 경영진 간 원활한 소통을 주도합니다. SK에코플랜트는 상법과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 관련 법률을 준수하며, 명확한 사외이사 독립성 결격사유 기준에 의거해 이사 후보자 및 재임 이사의 독립성을 검증합니다.
- 2024년 7월 기준 사외이사 비율은 57%입니다.
사외이사 독립성 결격사유
- 회사의 상무에 종사하는 이사·집행임원 및 피용자 또는 최근 2년 이내에 회사의 상무에 종사한 이사·감사·집행임원 및 피용자
- 최대주주 본인과 그 배우자 및 직계존속·비속
- 최대주주가 법인인 경우 그 법인의 이사·감사·집행임원 및 피용자
- 이사·감사·집행임원의 배우자 및 직계존속·비속
- 회사의 모회사 또는 계열회사의 이사·감사·집행임원 및 피용자
- 회사와 거래관계 등 중요한 이해관계에 있는 법인의 이사·감사·집행임원 및 피용자
- 회사의 이사·집행임원 및 피용자가 이사·집행임원으로 있는 다른 회사의 이사·감사·집행임원 및 피용자
이사회 다양성
SK에코플랜트는 이사회 다양성을 확보하여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 과정에서 다양한 관점과 경험, 그리고 전문성을 바탕으로 잠재적 리스크 및 기회를 검토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2022년 12월에는 여성 글로벌 HR 전문가를 사외이사로 선임하였으며 성별, 연령, 인종, 국적, 출생국가, 문화적 배경 등의 다양성을 갖춘 이사진을 구성함으로써 SK에코플랜트에 필요한 전문성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이사회 다양성 현황1)
- 2024년 7월 기준입니다.
이사회 활동 및 평가
이사회 활동
SK에코플랜트는 이사회 규정에 의거하여 개최 7일 전 소집통보 후 매월 마지막 주 이사회를 개최하며, 필요 시 수시로 이사회를 개최하거나 사외이사만으로 구성된 간담회를 진행합니다. 효율적인 이사회 진행과 실질적인 토의를 위해 부의안건에 대한 자료를 사전에 공유하고 필요한 경우 개별 이사에게 사전 보고로 관련 내용을 충분히 전달합니다. 2023년에는 이사회를 총 14차례 개최하였으며 의결안건 37건과 보고안건 23건을 상정하였습니다. 2023년 사외이사 평균 참석률은 97%이며 의결안건 37건 중 반대 의견이 제기된 건은 0건, 기권 의견이 제기된 건은 1건, 수정 의견이 제기된 건은 1건입니다.
ESG 안건 논의
이사회와 ESG위원회에서는 ESG 관련 안건을 활발히 논의하고 있습니다. 이사회에서는 윤리경영, 안전보건, 지배구조 개선 등을 논의하며, ESG위원회를 통해 인권경영, 환경경영 및 기후변화 대응 등을 ESG 경영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검토합니다. 2023년에는 총 22건의 ESG 관련 안건을 다루었습니다.
이사회 활동 현황
일시 | 안건 | 가결 여부 | 참석/대상(참석률) | ESG 안건 |
---|---|---|---|---|
2023.02.08. | '23년 안전/보건 계획 승인('22년 실적 및 '23년 계획) | 가결 |
8/8 (100%) | ● |
자율준수관리자 임명 | 가결 | ● | ||
PINX와의 거래 승인 | 가결 | - | ||
'22년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 | 가결 | - | ||
'2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실태 | 보고 | ● | ||
2023.02.17. | 해외 자회사 증자 | 가결 |
8/8 (100%) | - |
해외 자회사 지분 처분 | 가결 | - | ||
2023.03.02. | 제6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부의안건 채택 | 가결 |
7/8 (87.5%) | - |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정 승인 | 가결 | ● | ||
'2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 | 보고 | ● | ||
'23년 Compliance Program 운영 계획 보고 | 보고 | ● | ||
주요 경영 Events | 보고 | - | ||
2023.03.16. | 해외 자회사 증자 변경 승인 | 가결 | 7/8(87.5%) | - |
2023.03.29.1) | 위원회 위원 선임 | 가결 |
6/7 (85.7%) | ● |
홍콩 Yau Ma Tei East PJT Authorized Representative 지명 | 가결 | - | ||
'23년 품질환경 사업계획 | 보고 | ● | ||
'23년 경영계획 및 전사 KPI 수립 보고 | 보고 | ● | ||
주요 경영 Events | 보고 | - | ||
2023.04.19. | 차세대 ERP 관련 용역 거래 승인 | 가결 |
7/7 (100%) | - |
전대차 추가 계약 | 가결 | - | ||
'23년 인재육성 전략 및 방향성 | 보고 | ● | ||
주요 경영 Events | 보고 | - | ||
2023.05.19. | 자사주 처분 | 가결 |
7/7 (100%) | - |
자사주 처분 | 가결 | - | ||
자사주 처분 | 가결 | - | ||
자사주 처분 | 가결 | - | ||
캐나다 그린수소·암모니아 사업개발 및 투자 추진의 건 | 보고 | ● | ||
2023.06.28. | '23년 하반기 장기차입 및 회사채 발행 한도 설정 | 가결 |
7/7 (100%) | - |
용역거래 승인 | 가결 | - | ||
'23년 임원배상책임보험 갱신 가입 | 가결 | ● | ||
주요 경영 Event | 보고 | - | ||
2023.07.19. | 자회사 주식 매각을 위한 주식 담보 제공 | 가결 |
7/7 (100%) | - |
C사 거래 종결 | 보고 | - | ||
2023.09.11. | 교환사채 발행 | 가결 |
7/7 (100%) | - |
자회사 물적분할 | 가결 | - | ||
자회사 유상감자에 따른 주식 처분 | 가결 | - | ||
PINX와의 거래 승인 | 가결 | - | ||
2023.10.25.2) | 자회사 주식매각 | 가결 |
7/7 (100%) | - |
자회사 자금대여 | 가결 | - | ||
PINX와의 거래 | 가결 | - | ||
차세대 ERP 구축과제 승인 | 가결 | - | ||
Biz. Partner ESG Value-up 추진결과 보고 | 보고 | ● | ||
CEO 보상 체계 | 보고 | ● | ||
CEO 후보군 검토 Process | 보고 | ● | ||
주요 경영 Events | 보고 | - | ||
2023.11.29.3) | 이사회 규정 개정 | 가결 |
7/7 (100%) | ● |
SK 브랜드 사용계약 연장 승인 | 가결 | - | ||
윤리경영 및 리스크 관리 체계 강화를 위한 협약서 체결 | 수정가결 | ● | ||
SK임업과의 거래 승인 | 가결 | - | ||
Culture Survey 결과 보고 | 보고 | ● | ||
'23년 Compliance 운영 결과 보고 | 보고 | ● | ||
SK에코플랜트 Scenario Planning | 보고 | ● | ||
주요 경영 Events | 보고 | - | ||
2023.12.06. | 임시주주총회 소집과 부의안건 채택 및 기준일 결의 | 가결 |
6/7 (85.7%) | - |
'24년 조직 개편 및 임원 인선(안) | 보고 | ● | ||
2023.12.19 | '24년 SK㈜와의 거래 승인 | 가결 |
7/7 (100%) | - |
'24년 상반기 장기차입 및 회사채 발행 한도 설정 | 가결 | - | ||
'24년 PF 채무보증 한도 설정 | 가결 | - | ||
'23년 실적 및 '24년 사업 계획 | 보고 | ● | ||
주요경영 Events | 보고 | - |
- 2023년 3월 이승호 사외이사 임기만료 퇴임
- 2023년 10월 25일 차세대 ERP 구축과제 승인: 기권 1표(이성형 기타비상무이사)
- 2023년 11월 29일 윤리경영 및 리스크 관리 체계 강화를 위한 협약서 체결: 수정 의견 1표(김윤모 사외이사)
이사의 활동 보장 및 지원 정책
SK에코플랜트는 공식적인 사내 규정으로서 이사의 활동을 보장하고 전문성을 지원합니다. 이사가 선관주의의무(선량한 관리자로서 주의의무)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면 정관 제31조 2에 의거해 주주총회 보통결의를 거쳐 이에 대한 책임을 감경합니다. 다만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손해를 발생시킨 경우나 [상법] 제397조, 제39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책임감경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이사 및 경영진의 독립적인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매년 임원손해배상책임보험을 갱신·가입하고 있으며, 이사회 규정 제13조 2항에 근거하여 전문성 강화를 위한 이사의 요청이 있을 경우 언제든지 회사의 비용으로 외부 전문가의 자문 및 도움을 제공합니다.
이사회 산하위원회 활동
SK에코플랜트는 이사회 산하에 ESG위원회, 인사위원회, 감사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사위원회는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및 보상위원회의 기능을 겸하며, 감사위원회는 내부거래위원회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각 위원회에서 이루어진 검토 및 토의 활동의 전반적인 내용은 당월 이사회에 정기적으로 보고합니다.
이사회 산하위원회 현황
위원회명 | 주요 기능 | 위원장 | 위원회 구성1) | 지원 조직 |
---|---|---|---|---|
ESG위원회 규정 |
| 박선규 |
| 안건별 담당 조직 및 이사회사무국 |
인사위원회 규정 |
| 이미라 |
| HR담당 및 이사회사무국 |
감사위원회 규정 |
| 김종호 |
| 재무담당·윤리경영 담당 및 이사회사무국 |
- 2024년 7월 15일부로 위원회 구성이 변경되었습니다.
ESG위원회
SK에코플랜트의 ESG위원회는 투명한 지속가능경영 체계 확보를 목표로 운영됩니다. ESG 경영 추진의 사령탑으로서 ESG위원회는 SK에코플랜트의 중장기 ESG 전략을 수립하고 지배구조 개선방안을 논의하며, 인권, 안전보건 등 세부 ESG 영역별 성과 및 이슈를 점검합니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재무적, 비재무적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여 대응 전략을 수립하며, 변화하는 내·외부 경영 환경에 발맞추어 SK에코플랜트의 사회적 가치 증진 방안을 모색합니다. 더불어 사업 전략에 기반한 중요 투자 의사결정 사항이 있을 경우 투자 심의 역할을 겸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총 4회의 ESG위원회가 개최되었으며 환경 관련 1건, 사회 관련 1건, 지배구조 관련 3건 등 총 5건의 안건을 논의하였습니다.
ESG위원회 활동 현황
일시 | 안건 | 가결 여부 | 참석/대상(참석률) |
---|---|---|---|
2023.04.19. | ESG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5/5(100%) |
2023.05.19. | Board Skills Matrix 도입(안) | 검토 | 5/5(100%) |
2023.10.25. | SK에코플랜트 인권경영 운영 현황 | 보고 | 5/5(100%) |
2023.11.29. | '23년 이사회 평가안 | 보고 | 5/5(100%) |
'23년 ESG정보공개 주요 내용(Net Zero 추진현황, 중대성 평가 결과) | 보고 |
인사위원회
SK에코플랜트의 인사위원회는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및 보상위원회를 통합하여 2021년 신설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인사위원회는 두 위원회의 기능을 겸하는데, 대표적으로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사외이사 최종 후보를 추천하며, 사내이사의 개별 보수를 검토 및 결의합니다. 또한 대표이사의 활동을 평가하고 등기 및 미등기임원 등 경영진에 대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및 검토 등을 수행합니다. 2023년에는 총 6회의 인사위원회가 개최되었으며, 신임 사외이사 후보 및 대표이사 후보 추천 등 총 6건의 안건을 논의하고 의결하였습니다.
인사위원회 활동 현황
일시 | 안건 | 가결 여부 | 참석/대상(참석률) |
---|---|---|---|
2023.02.17. | '23년 사내이사 개별 보수 결의 | 가결 | 3/3(100%) |
2023.03.02. | 사외이사 후보 추천 | 가결 | 3/3(100%) |
2023.04.19. | 인사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3/3(100%) |
2023.10.25. | 신임 사외이사 후보 Pooling 검토 안 | 보고 | 3/3(100%) |
2023.12.06. | 대표이사 후보 추천 | 가결 | 3/3(100%) |
2023.12.15. | ‘23년 SK에코플랜트 및 대표이사 활동 평가 | 가결 | 3/3(100%) |
사외이사 선임 프로세스
SK에코플랜트는 독립적이고 효과적인 이사회의 기능 수행을 위해 독립성, 전문성, 다양성의 원칙을 고려하여 사외이사를 선임합니다. 해당 원칙에 따라 사외이사 후보 풀 구성 후 이사회 역량 구성표를 기반으로 현 이사회의 전문성 보유 현황과 필요 역량을 논의하여 1차 후보를 선별합니다. 이때 인사위원회는 사외이사의 독립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SK에코플랜트와 이해관계가 있는 후보자를 사외이사 후보군에서 제외합니다. 이후 추천된 사외이사 후보자로부터 서명된 사외이사 자격요건 적격 확인서를 받아 이사회 결의와 주주총회 이사 선임 결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선임합니다. SK에코플랜트는 앞으로도 균형있는 이사회 운영을 위해 이사회 구성 현황과 역량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이사진을 구성할 것이며,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각 분야별 전문가를 선임할 계획입니다.
감사위원회
SK에코플랜트의 감사위원회는 독립성을 기반으로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실태를 평가하며 각 이사의 업무 수행을 감독합니다. 동시에 사내 윤리 및 반부패 관련 업무의 컨트롤타워로서 지휘·감독·책임 역할을 종합적으로 수행합니다. SK에코플랜트는 감사위원회의 독립성 확보를 위해 3명 전원을 사외이사로 구성하였으며, 감사 업무의 효과성을 제고하고자 2024년 3월 29일 기준 재무·회계 전문가 1인과 산업전문가 2인을 선임하였습니다.
2022년에는 감사위원회 규정을 개정하여 재무조직 및 내부감사조직 내 감사위원회의 업무를 지원하는 전담지원부서를 설치하였고, 내부감사부서장의 임면동의권과 내부감사부서장 인사평가에 대한 검토 및 승인권을 감사위원회에 부여하였습니다. 또한 내부거래 심의 및 계열사간 거래 검토를 감사위원회의 역할로 규정하였으며, 2024년 2월에는 내부감사조직을 감사위원회 직속 산하 조직으로 편제하여 감사위원회의 독립성을 강화하였습니다. 2023년에는 총 13회의 감사위원회를 개최하여 내부회계관리제도 관련 12건, 재무제표 감사 관련 6건, 일반 업무 감사 관련 5건, 기타 주요 감사 관련 18건 및 내부거래 사전 심의 6건 등 총 47개 안건을 논의 및 의결하였습니다.
감사위원회 활동 현황
일시 | 의안(국문) | 가결 여부 | 참석/대상(참석률) |
---|---|---|---|
2023.02.08. | '2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실태 | 보고 | 3/3(100%) |
2023.02.16. | '2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실태 평가 | 보고 | 3/3(100%) |
2023.02.28. | '2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실태 평가 | 가결 | 3/3(100%) |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정 승인 | 가결 | ||
'2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검토 결과 | 보고 | ||
'22년 기말 감사결과 보고 | 보고 | ||
'23년 윤리경영 사업계획 | 보고 | ||
국내연료전지발전사업 경영진단 결과 | 보고 | ||
제보현황 및 조사결과 보고 | 보고 | ||
2023.03.02. | '22년 감사보고서 제출 | 가결 | 3/3(100%) |
외부감사인 비감사용역 사전 승인 | 가결 | ||
SK오션플랜트 PMI 진단 결과 | 보고 | ||
제이에이그린 PMI 진단 결과 | 보고 | ||
2023.04.17. | 감사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3/3(100%) |
전대차 추가 계약의 건 | 보고 | ||
2023.05.10. | 외부감사인이 제공가능한 비감사업무 사전승인 | 가결 | 3/3(100%) |
'23년 1분기 검토 결과 | 보고 | ||
'23년 회계감사계획 및 핵심감사사항 | 보고 | ||
'23년 1분기 재무실적 | 보고 | ||
'23년 내부회계 운영실태 평가계획 | 보고 | ||
소각자회사 개선권고사항 이행감사 결과 | 보고 | ||
제보현황 및 조사 결과 | 보고 | ||
2023.06.28. | 외부감사인이 지배회사에 제공하는 비감사업무 사전승인 | 보고 | 3/3(100%) |
2023.08.09. | 외부감사인이 지배회사에 제공하는 기타 비감사업무 승인의 건 | 가결 | 3/3(100%) |
해외지사/법인 감사계획 | 보고 | ||
제보조사현황 | 보고 | ||
2023년 상반기 검토 결과 | 보고 | ||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평가 현황보고 | 보고 | ||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평가 결과보고 | 보고 | ||
2023년 상반기 재무 현황 | 보고 | ||
2023.09.06. | 자회사 유상감자에 따른 주식 처분 | 보고 | 3/3(100%) |
2023.10.13. | 차세대 ERP 구축과제 승인 | 보고 | 3/3(100%) |
환경 사업 Governance 재편을 위한 ㈜ 삼원이엔티의 EMC 자회사 편입 | 보고 | ||
상반기 정기감사 보고 | 보고 | ||
2023.11.08. | 외부감사인의 '23년 3분기 검토 결과 보고 | 보고 | 3/3(100%) |
외부감사인의 '23년 3분기 내부회계관리제도 검토 현황 보고 | 보고 | ||
'23년 3분기 실적 보고 | 보고 | ||
'23년 3분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평가 보고 | 보고 | ||
SK Brand 사용계약 연장 | 보고 | ||
'23년 3분기 제보현황 및 조사결과 | 보고 | ||
'23년 윤리경영 Survey 결과 보고 | 보고 | ||
'23년 자정점검 결과 보고 | 보고 | ||
2023.11.29. | '23년 윤리경영담당 평가(안) | 가결 | 3/3(100%) |
2023.12.15. | '24년 SK㈜와의 거래 승인 | 보고 | 3/3(100%) |
'23년 윤리경영수준 측정 결과 | 보고 | ||
'23년 리더솔선수범 점검 결과 | 보고 | ||
이행감사 결과보고 | 보고 |
감사위원회 교육 현황
교육일자 | 교육실시 주체 | 주요 교육 내용 |
---|---|---|
2023.04.18. | 감사위원회 포럼 | 자금사고 유형과 감사위원회가 유의해야 할 사항, 텍스트 감성분석을 활용한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서의 내용 분석과 시사점 |
2023.07.13. | 감사위원회 포럼 | 감사위원회가 알아야 할 거버넌스 동향과 시사점 |
2023.09.21. | 감사위원회 포럼 | 기업이 공시해야 하는 지속가능성 정보와 기업보고 과정에서의 감사위원회의 역할 |
2023.11.21. | 감사위원회 포럼 | 규제환경 변화와 결산시기 대비 선제적인 감사 및 감사위원의 역할과 준비사항 |
감사위원회의 내부거래 심의 역할 강화
SK에코플랜트는 중장기적 차원에서 계열사간 내부거래 및 특수관계인과의 거래를 내부적으로 감독하고 관리하기 위해 2022년 감사위원회 규정을 개정하여 감사위원회에 내부거래 심의 역할을 공식적으로 부여하였습니다.1) 이로써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이사회 결의가 필요한 특수관계인과의 거래의 경우 독립성을 확보한 감사위원회의 사전 심의를 거치도록 하여 이사회 의결사항에 대한 절차적 정당성을 강화하였습니다.
- 감사위원회 규정 - 제9조 기능 및 권한
내부거래 사전 심의 현황
일시 | 안건 | 참석/대상(참석률) |
---|---|---|
2023.04.17. | 전대차 추가 계약의 건 | 3/3(100%) |
2023.09.06. | 자회사 유상감자에 따른 주식 처분 | 3/3(100%) |
2023.10.13. | 차세대 ERP 구축과제 승인 | 3/3(100%) |
환경 사업 Governance 재편을 위한 ㈜삼원이엔티의 EMC 자회사 편입 | 3/3(100%) | |
2023.11.08. | SK Brand 사용계약 연장 | 3/3(100%) |
2023.12.15. | '24년 SK㈜와의 거래 승인 | 3/3(100%) |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강화를 위한 조치
SK에코플랜트는 외부감사인의 비감사용역 계약 체결 전 사전 보고를 통해 상세 내용에 대해 사전 협의를 진행합니다. 2023년부터는 비감사업무 용역의 경우 사전에 업무 범위 및 방법에 대해 감사위원회의 승인을 득하는 것으로 프로세스를 강화하였습니다. 외부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정보는 사업보고서를 통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SK에코플랜트는 분기별 감사위원회 개최 전 감사위원 및 외부감사인만 참석하는 세션을 마련하는 등 외부감사인의 감사 용역 독립성 보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평가
SK에코플랜트는 이사회 및 산하위원회의 효율적 운영을 통한 거버넌스 개선을 목적으로 2022년 이사회 운영 평가를 도입하였습니다. 이사회 평가는 이사회사무국 주관으로 연 1회 실시하며 평가 전 간담회를 통해 평가의 목적, 방법, 대상, 항목을 사전에 안내합니다. 평가 항목은 현재 이사회 및 산하위원회의 역할·구성·운영 현황과 개별 이사의 자가 평가로 구성되며, 5점 척도(1점: 매우 미흡 ~ 5점: 매우 우수)의 정량 평가로 설계된 평가진단표를 활용합니다. 이사회 평가 결과는 이사회 또는 ESG위원회에 보고하여 이사회 활동 전반에 대한 개선안 도출 및 시행의 기반 자료로 활용합니다.
SK에코플랜트는 2023년 이사회 평가 결과를 ESG위원회에 보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2024년에는 SK에코플랜트의 단·중·장기적 전략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 각 위원회의 전문 역량 확보를 위한 프로그램을 보완할 계획입니다. 중장기적으로는 현재의 평가 항목으로 개별 이사의 동료 평가 및 경영진 평가까지 진행할 수 있도록 문항을 고도화하고 평가자를 다변화하여 추후 이사 재선임 시 근거로 활용하고자 합니다. 또한 이사회 책임경영의 강화를 위해 이사회 평가 결과를 보상에 반영할 예정입니다. 이사회 평가 결과는 추후 홈페이지 또는 사업보고서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해관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겠습니다.
이사회 평가 프로세스
이사 보수 정책
인사위원회는 연초에 경영진의 활동 계획을 보고받고, 연말에는 사내이사의 활동 평가를 최종적으로 검토합니다. 경영진 보상제도는 인사위원회 보고를 거쳐 수립 및 변경되며 해당 보상제도에 의거해 사내이사 평가 결과를 고려하여 개별 보수를 검토합니다. 이사회는 사내이사의 개별 보수액을 의결하고 이를 포함한 이사보수액의 한도를 주주총회에 상정하여 승인을 받습니다.
이사 보수 지급 기준
구분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 |
---|---|---|
급여 |
| |
인센티브 |
|
|
복리후생·퇴직금 |
|
|
이사 보수 지급 내역
구분 | 인원 수 | 보수총액 | 1인당 연간 평균보수액1) |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3명 | 2,424백만원 | 1,212백만원2)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1명 | 151백만원 | 129백만원 |
감사위원회 위원 | 3명 | 389백만원3) 4) | 130백만원 |
- 1인당 연간 평균보수액은 '월별 평균 급여액의 합' 으로 월별 평균 급여액은 해당 월의 급여총액을 해당 월의 평균 근무인원 수로 나눈 값으로 합니다.
- 보수지급 금액이 없는 기타비상무이사 1명은 제외합니다.
- 2023년 3월 29일 자 감사위원 1인 사임에 따라 보수총액 일할계산 포함합니다.
- 2023년 3월 29일 자 사외이사 1인의 감사위원 임원변동에 따라 보수총액을 일할계산하여 반영하였습니다.
ESG 성과 요소가 반영된 보수 정책
SK에코플랜트는 이사진 보수 산정 시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를 모두 고려하며, 보수 지급 기준은 사업보고서를 통해 투명하게 공시합니다. 비재무적 성과는 전략적 목표 달성도, 리더십, Net Zero 로드맵 수립 및 달성도, ESG 관리 수준 개선, 행복경영·윤리경영 수준 개선 등의 요소를 포함합니다. CEO를 포함한 전체 임원진의 KPI 수립 시에도 비재무적 성과 및 목표를 일정 비율 이상 반영합니다. 대표적으로 CEO의 KPI에서 경영성과 창출을 위한 리더십 발휘, 환경 및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신속한 포트폴리오 전환 및 성공적 추진 등의 비재무적 성과 항목을 상여와 연계하고 있습니다. 또한 CEO의 중장기적인 재무적·비재무적 경영성과에 대한 책임경영 강화를 목적으로 양도제한조건부주식, 주식매수선택권 등의 주식 연계 보상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SK에코플랜트는 이사진 및 경영진의 중장기 KPI에 비재무적 성과 비중1)을 확대하여 ESG 경영 추진 리더십을 강화하고 장기적인 기업가치를 제고하고자 합니다.
- 2023년 기준 사내이사의 KPI 내 비재무 성과 반영 비중은 10% 입니다.
보수 지급 현황
SK에코플랜트는 2023년 대표이사의 기본급을 1,100백만원으로 결정하고 이를 12분할하여 매월 지급하였습니다. 해당 금액은 이사보수한도 범위 내에서 직책, 직위, 리더십, 전문성,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산정된 값입니다. 한편 기타비상무이사는 보수 지급금액이 없습니다.
대표이사 보수 지급 기준
구분 | 보수총액 | 산정기준 및 방법 | |
---|---|---|---|
근로소득 | 급여 | 1,100백만원 | 이사 보수 지급 기준에 따라 2023년 이사 보수 한도 범위 내에서 직책(대표이사 CEO), 직위(사장), 리더십, 전문성, 회사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기본급을 총 1,100백만원으로 결정하고, 이를 12분할하여 매월 지급하였음 |
상여 | 668백만원 |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 해당없음 | |
기타 근로소득 | 6백만원 | 사내 복리후생 지원 기준에 따라 약 6백만원을 지급하였음 | |
퇴직소득 | - | 해당없음 | |
기타소득 | - | 해당없음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및 행사 현황1) 2)
대상·관계 | 부여일 | 부여방법 | 종류 | 행사기간 | 부여 주식수 | 행사가격 |
---|---|---|---|---|---|---|
등기임원 | 2022.03.25. | 자기주식교부, 차액보상 | 보통주 | 2025.03.25.~2029.03.25. | 166,331 | 60,121원 |
등기임원 | 2022.03.25. | 자기주식교부, 차액보상 | 보통주 | 2025.03.25.~2029.03.25. | 83,165 |
- 제 60기 정기주주총회(2022.03.25)를 통해 등기이사 박경일에 대한 주식매수 선택권을 부여하였습니다.
- 위 주식매수선택권은 행사가능기간은 동일하며 가득조건에 따른 행사주식수의 차이입니다.
CEO와 구성원 보수 비율
구분 | 2023년 보수 | 구성원 보수 평균값 대비 | 구성원 보수 중앙값 대비 |
---|---|---|---|
CEO(박경일 대표이사)1) | 1,774백만원 | 20.1배 | 19.7배 |
구성원 보수 평균값 | 88백만원 | - | - |
구성원 보수 중앙값 | 90백만원 | - | - |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주식매수선택권 지급)는 제외합니다.
소유구조 및 의결권
주주 권리 보호
SK에코플랜트는 주주 권리를 보호하고 주주친화적 경영 환경을 조성하여 지속적인 주주가치 제고에 노력을 기울입니다. 주주 권리 행사의 편의성 확대를 위해 전자 투표제를 도입하였고, 정기 주주총회 개최 소식을 우편 및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하고 있습니다. 의결권 행사 방법에 대한 설명 역시 홈페이지 내 공지함으로써 주주의 의결권 행사를 독려합니다. 또한 정관을 통해 중간배당에 대한 공식적인 근거를 둠으로써 향후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SK에코플랜트의 배당은 정관에 의거하여 이사회 및 주주총회 결의를 거쳐 실시하며 '경영실적에 기반한 장기·안정적인 현금배당수준 유지'를 배당정책으로 삼고 있습니다. 향후 시장 상황 및 회사의 재무상태를 고려하여 미래 성장과 주주 환원 정책을 균형있게 실시하고자 합니다.
주주총회 의결사항
SK에코플랜트는 1주당 1의결권 원칙을 따릅니다. 의결권이 부여된 주식은 36,596,286 주로 전체 발행 주식의 약 97.4%를 차지하며, 의결권이 없는 우선주를 일부 발행하고 있습니다.
의결권 현황1)
구분 | 주식 수 | 주식 비율 |
---|---|---|
의결권 있는 주식 | 36,596,286 주 | 97.4% |
의결권 없는 주식2) | 974,341 주 | 2.6% |
발행주식총수 | 37,570,627 주 | 100% |
- 2024년 3월 31일 기준입니다.
- 자기주식은 의결권 없는 주식으로 분류합니다.
제62기 정기주주총회 의결사항
구분 | 부의안건 | 결과 | 찬성률 |
---|---|---|---|
제1의안 | 제62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원안 가결 | 99.92% |
제2-1의안 | 사내이사 박경일 중임의 건 | 원안 가결 | 99.91% |
제2-2의안 | 사외이사 정연만 선임의 건 | 원안 가결 | 99.89% |
제2-3의안 | 기타비상무이사 신창호 선임의 건 | 원안 가결 | 99.89% |
제3의안 | 이사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 원안 가결 | 99.83% |
제4의안 | 임원 퇴직금 지급규칙 변경의 건 | 원안 가결 | 99.84% |
제62기 정기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현황
발행주식총수 | 의결권 주식수 | 의결권 행사 주식수 | 최대주주1) | 기타주주2) | 의결권 행사 비율3) | 최대주주 제외 의결권 행사 비율 |
---|---|---|---|---|---|---|
37,570,627 | 36,596,286 | 31,003,778 | 15,730,481 | 15,273,297 | 84.72% | 41.73% |
- 최대주주: SK㈜ 및 특수관계자
- 기타주주: 최대주주를 제외한 주주
- 의결권 행사 비율 = (의결권 행사 주식수 ÷ 의결권 주식수) × 100
지분 소유 현황
주요 주주 지분 소유 현황1)
구분 | 주식수 | 지분율2) |
---|---|---|
발행주식총수 | 37,570,627 주 | 100%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자 | 15,864,711 주 | 42.2% |
엠디드래곤제이차 | 4,639,310 주 | 12.3% |
엠디드래곤제일차 | 2,628,977 주 | 7.0% |
에코얼라이언스홀딩스 | 2,154,236 주 | 5.7% |
우리사주조합 | 1,478,264 주 | 3.9% |
자기주식 | 34,341 주 | 0.1% |
기타 | 10,770,788 주 | 28.7% |
- 2024년 3월 31일 주주명부 기준입니다.
- 주식수와 지분율은 보통주와 우선주를 포함하여 계산합니다.